컨설팅 서비스
이큐에스넷의 컨설팅 서비스는 품질, 환경/에너지, 안전보건/안전문화, 부패방지, 비즈니스연속성, 인권, ESG 등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주목합니다. 이큐에스넷은 고객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부터 해결합니다. 이큐에스넷은 고객 상황에 맞춘 차별화된 접근법으로 가치를 창출해왔습니다.





품질경영시스템
(ISO 9001)
구축(자문) 과정
ISO 9001 인증제도란?
ISO 9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품질경영과 품질보증에 관한 국제표준입니다.
ISO 9001은 고객에게 제공되는 제품이나 서비스 실현 체계가 규정된 요구사항을 만족하 고 있음을 제3자 인증기관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인증해주는 제도입니다.
ISO 9000 표준의 구성
ISO 9001:2015 표준이 2015년 9월에 확정 공표되었으며, 표준의 기본구성은 ISO 9001 인증표준과 ISO 9000, ISO 9004 지원표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ISO 9001:2015 표준은 기업의 품질경영 수준을 한 단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품질경영적 요소를 강화한 프로세스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ISO 9000 품질경영시스템 기본 및 용어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표준
ISO 9004 품질경영시스템 성과개선 지침
1단계: 품질경영시스템
진단
조직의 현황 기초자료 수집
요구사항 대비 갭 분석 및 개선항목 도출
품질경영 현황 진단 및 성숙도 측정
2단계: 품질경영 교육
품질경영인식을 위한 교육
품질경영시스템 추진 실무 교육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결과 교육
품질 내부 심사원 교육
3단계: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
품질경영시스템 표준화
품질경영시스템 매뉴얼, 프로세스, 지침서 수립
품질경영시스템 문서 검토와 운영 및 보안
품질경영시스템 실행문서 작성
품질방침 및 목표 수립
성과지표 검토 및 보완
작업표준 검토 및 보완
품질경영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
품질경영시스템 실행, 점검 및 개선
내부심사 계획, 수행, 보고 및 후속조치
경영검토 자료 작성 및 개선
4단계: 품질경영시스템
성숙도 측정 및
중장기 개선방향 도출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후 품질경영시스템 성숙도 측정
품질경영시스템 중장기 개선 방향 도출 및 실행항목 수립
5단계: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심사 대응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점검 및 보완 지원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대응 요령 교육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발견사항 시정조치 지원
환경경영시스템
(ISO 14001)
구축(자문) 과정
ISO 14001 인증제도란?
ISO 14001은 기업활동의 전과정에 걸쳐 지속적 환경성과를 개선하는 일련의 경영활동을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규격입니다.
ISO 14001은 조직이 구축한 환경경영시스템이 이 규격에 적합한지를 제3자 인증기관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인증해주는 제도입니다.
ISO 14001 표준 구성
ISO 14001 표준 구성은 인증규격인 ISO 14001과 지침표준인 ISO 14004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직에서 인증획득을 위해서 ISO 14001에 따라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ISO 14004 표준은 ISO 14001에 따라 시스템을 구축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지원 표준입니다.
ISO 14001:2015
ISO 14004:2016
1단계: 환경경영시스템
진단
조직의 현황 기초자료 수집
ISO 14001 및 관련 요구사항 대비 갭 분석 및 개선항목 도출
환경경영 현황 진단 및 성숙도 측정
2단계: 환경경영 교육
환경경영인식을 위한 교육
환경경영시스템 추진 실무 교육
환경영향평가 교육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결과 교육
환경 내부 심사원 교육
3단계: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
환경경영시스템 표준화
환경경영시스템 매뉴얼, 프로세스(절차서), 지침서 등 작성
환경경영시스템 문서 검토와 운영 및 보완
환경경영실행문서 작성
환경영향평가
환경방침 및 목표 수립
법규등록부 및 준수평가표 작성
비상대응계획 수립
환경경영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
환경경영시스템 실행, 점검 및 개선
내부심사 계획, 수행, 보고 및 후속조치
경영검토 자료 작성 및 개선
4단계: 환경경영시스템
성숙도 측정 및
중장기 개선방향 도출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후 환경경영시스템 성숙도 측정
환경경영시스템 중장기 개선 방향 도출 및 실행항목 수립
5단계: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심사 대응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점검 및 보완 지원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대응 요령 교육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발견사항 시정조치 지원
에너지경영시스템
(ISO 50001)
구축(자문) 과정
에너지경영시스템
(ISO 50001) 인증제도란?
국제표준화기구(ISO)는 ISO 50001:2011을 제정하고, ISO 50001:2018 개정판을 발행하였습니다.
인증기관은 ISO 50001:2018 표준에 기반한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제도를 도입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에너지경영시스템(ISO 50001:2018) 구축 및 인증을 통해 조직의 에너지 성과를 개선하고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1단계: 에너지경영시스템 진단
조직의 현황 기초자료 수집
ISO 50001 요구사항 대비 갭 분석 및 개선항목 도출
에너지경영 현황 진단 및 성숙도 측정
2단계: 에너지경영 교육
에너지경영 인식을 위한 교육
에너지경영시스템 추진 실무 교육
에너지검토 교육
에너지경영시스템 구축 결과 교육
에너지 내부 심사원 교육
3단계: 에너지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
에너지경영시스템 표준화
에너지경영시스템 매뉴얼, 프로세스(절차서), 지침서 등 수립
에너지경영시스템 문서 검토와 운영 및 보완
에너지경영 실행문서 작성
에너지 리스크/기회평가
에너지검토
에너지경영방침 및 목표 수립
법규등록부 및 준수평가표 작성
에너지경영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
에너지경영시스템 실행, 점검 및 개선
내부심사 계획, 수행, 보고 및 후속조치
경영검토 자료 작성 및 개선
4단계: 에너지경영
성숙도 측정 및
중장기 개선방향 도출
에너지경영시스템 구축 후 에너지경영 성숙도 측정
에너지경영시스템 중장기 개선 방향 도출 및 실행항목 수립
5단계: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심사 대응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 점검 및 보완 지원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대응 요령 교육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발견사항 시정조치 지원
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 45001/KOSHA-MS)
구축(자문) 과정
ISO 45001/KOSHA-MS
인증제도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ISO 45001 표준을 발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가 ISO 45001을 바탕으로 KOSHA-MS 인증기준을 수립하고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증표준인 ISO 45001 표준이 제정됨에 따라 OHSAS 18001 표준은 ISO 45001로 대체되었으며, 조직에서 인증획득을 위해서는 ISO 45001에 따라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ISO 45001:2018
1단계: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진단
조직의 현황 기초자료 수집
ISO 45001/KOSHA-MS 요구사항 대비 갭 분석 및 개선항목 도출
안전보건경영 현황 진단 및 성숙도 측정
2단계: 안전보건경영 교육
안전보건경영 인식을 위한 교육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추진 실무 교육
위험성평가 교육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결과 교육
안전보건 내부 심사원 교육
3단계: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
안전보건경영시스템 표준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매뉴얼, 프로세스(절차서), 지침서 등 수립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문서 검토와 운영 및 보완
안전보건경영실행문서 작성
안전보건위험성평가
안전보건방침 및 목표 수립
법규등록부 및 준수평가표 작성
비상대응계획 수립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실행, 점검 및 개선
내부심사 계획, 수행, 보고 및 후속조치
경영검토 자료 작성 및 개선
4단계: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성숙도 측정 및 중장기 개선방향 도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후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성숙도 측정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중장기 개선 방향 도출 및 실행항목 수립
5단계: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인증심사 대응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점검 및 보완 지원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대응 요령 교육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발견사항 시정조치 지원
안전문화 측정 및
성숙도 개선(자문) 과정
안전문화 성숙도평가(SMAP-SAFETY MATURITY AUDIT PROCESS)을 통한
안전성과 창출
안전문화 성숙도개선 프로세스 SMAP(Safety Maturity Audit Process)는 조직의 안전보건경영 현황에 대한 평가 및 진단을 중심으로 하는 안전성숙도 평가 및 개선 프로세스입니다.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 및 개선 프로세스는 P(계획) - D(실행) - C(점검) - A(조치) 접근방식에 의해 개발하여 평가합니다.
조직이 안전보건 이슈를 조직의 우선순위 가치(priority values)로 설정하고, 구성원들의 불안전한 행동을 통제하여 조직의 안전보건 유해위험요인 감소를 통한 조직 가치 창출 활동을 확인하는 프로세스입니다.
SMAP(SAFETY MATURITY AUDIT PROCESS)의 목적
조직의 안전 가치 창출을 위하여 관리자 (시니어 관리자, 중간 관리자, 감독관, 일선 관리자)가 계획하고 지휘하며 지원하는 경영 과정을 확인합니다.
조직의 안전 성숙을 위하여 조직이 구성원들에게 지원하는 경영 과정을 확인합니다.
조직의 안전 성숙을 위하여 조직이 기술 측면과 운영 측면에서 지원하는 경영 과정을 확인합니다.
1단계: 초기 안전문화
성숙도 진단
(SMAP-SAFETY MATURITY AUDIT PROCESS)
조직의 현황 안전보건 기초자료 수집
초기 안전보건경영 현황 점검 및 진단
초기 조직원 안전보건 인식도 조사 및 진단
초기 안전문화 성숙도 진단 및 개선방향 도출
2단계: 안전문화
개선을 위한 실행
안전보건경영 계층별 교육훈련
안전보건 분야별 교육훈련
안전보건경영 취약분야 개선 프로그램 실행
3단계: 개선 안전문화
성숙도 진단
(SMAP-SAFETY MATURITY AUDIT PROCESS)
개선된 안전보건경영 현황 점검 및 진단
개선된 조직원 안전보건 인식도 조사 및 진단
개선된 안전문화 성숙도 진단 및 개선방향 도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 37001)
구축(자문) 과정
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 37001) 인증제도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ISO 37001:2016 을 제정하였습니다.
인증기관에서는 ISO 37001:2016 표준에 기반한 반부패 경영시스템 인증제도를 도입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부기관, 공기업, 일반기업이 체계적인 반부패 체계구축 및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2016) 인증은 조직의 반부패 경영과 노력을 점검하고 대내외에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1단계: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진단
조직의 현황 기초자료 수집
ISO 37001 요구사항 대비 갭 분석 및 개선항목 도출
부패방지경영 현황 진단 및 성숙도 측정
2단계: 부패방지경영 교육
부패방지경영 인식을 위한 교육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추진 실무 교육
부패리스크/기회평가 교육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구축 결과 교육
부패방지 내부 심사원 교육
3단계: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구축 및 운영
부패방지경영시스템 표준화
부패방지경영시스템 매뉴얼, 프로세스(절차서), 지침서 등 수립
부패방지경영시스템 문서 검토와 운영 및 보완
부패방지경영 실행문서 작성
부패 리스크/기회평가
반부패 방침 및 목표 수립
법규등록부 및 준수평가표 작성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운영 시뮬레이션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실행, 점검 및 개선
내부심사 계획, 수행, 보고 및 후속조치
경영검토 자료 작성 및 개선
4단계: 반부패문화
성숙도 측정 및
중장기 개선방향 도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구축 후 반부패 문화 성숙도 측정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중장기 개선 방향 도출 및 실행항목 수립
5단계: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인증심사 대응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 점검 및 보완 지원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대응 요령 교육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발견사항 시정조치 지원
BCMS(ISO 22301/
재해경감우수기업)
구축(자문) 과정
ISO 22301 인증제도란?
비즈니스연속성경영(BCM) 국제 표준입니다.
2012년 5월 비즈니스연속성경영시스템(BCMS)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하였으며, 2019년 개정판이 발행되었습니다.
인프라(전력, 가스 등), 에너지, 운송, 통신 및 공공부문 등 위험도가 높은 환경에서 중요성이 크며 ISO 14001, ISO 45001과 같은 표준과 통합관리가 필요합니다.
기업재난관리
표준 인증제도 개요
(행정안전부 고시)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관한 법률'에 따라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운영 및 실행, 교육과 훈련, 감시 및 검토, 유지관리 및 지속적 개선 등의 표준화된 절차와 원칙을 규정하였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재해경감우수기업 인증기관을 지정하고 기업재난관리표준에 따라 재해경감우수기업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단계: BCMS
(ISO 22301/
재해경감우수기업) 진단
조직의 현황 기초자료 수집
ISO 22301/기업재난관리표준 대비 갭 분석 및 개선항목 도출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현황 진단 및 성숙도 측정
2단계: BCMS(ISO 22301/
재해경감우수기업) 교육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인식을 위한 교육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추진 실무 교육
업무영향분석(BIA)/리스크평가(RA) 교육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구축 결과 교육
업무연속성(비상대응 및 업무복구) 훈련 및 연습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내부 심사원 교육
3단계: BCMS(ISO 22301/
재해경감우수기업)
구축 및 운영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표준화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매뉴얼, 프로세스(절차서), 지침서 등 수립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문서 검토와 운영 및 보완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실행문서 작성
업무연속성 리스크/기회평가
업무영향분석(BIA) 및 재난 리스크평가(RA)
업무연속성 방침 및 목표 수립
업무연속성 전략 및 연속성계획 수립
법규등록부 및 준수평가표 작성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운영 시뮬레이션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실행, 점검 및 개선
내부심사 계획, 수행, 보고 및 후속조치
경영검토 자료 작성 및 개선
4단계: BCMS 성숙도 측정 및 중장기 개선방향 도출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구축 후 성숙도 측정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중장기 개선 방향 도출 및 실행항목 수립
5단계: BCMS(ISO 22301/
재해경감우수기업)
인증심사 대응
BCMS(ISO 22301/재해경감우수기업) 인증 점검 및 보완 지원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대응 요령 교육
인증기관 심사(1단계, 2단계) 발견사항 시정조치 지원
기능연속성계획(COOP) 구축(자문) 과정
재난 및 재난관리
기본법에 의한
기능연속성계획
수립 및 시행
재난관리책임기관의 기능연속성계획 수립이 법제화(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제25조의2)되어 재난 발생 시 핵심기능 유지를 위한 기능연속성계획 수립이 요구됩니다.
위기관리 문화 형성 및 확산 기반 마련이 필요합니다.
재난관리책임기관은 대외 신뢰도 향상 및 사회적 책임 강화가 필요합니다.
1단계: 기능연속성계획(COOP) 진단
조직의 현황 기초자료 수집
기능연속성계획(COOP) 수립 지침 대비 갭 분석 및 개선항목 도출
기능연속성계획(COOP) 현황 진단 및 재난 안전문화 성숙도 측정
2단계: 기능연속성계획(COOP) 교육
기능연속성계획(COOP) 인식을 위한 교육
기능연속성계획(COOP) 추진 실무 교육
기능영향분석(BIA)/리스크평가(RA) 교육
기능연속성계획(COOP) 구축 결과 교육
기능연속성계획(COOP) 훈련 및 연습
기능연속성계획(COOP) 내부 심사원 교육
3단계: 기능연속성계획(COOP) 구축 및 운영
기능연속성계획(COOP) 표준화
기능연속성계획(COOP) 매뉴얼, 프로세스(절차서), 지침서 등 수립
기능연속성계획(COOP) 문서 검토와 운영 및 보완
기능연속성계획(COOP) 실행문서 작성
기능영향분석(BIA) 및 재난 리스크평가(RA)
기능연속성 정책 및 목표 수립
기능연속성 전략 및 연속성계획 수립
기능연속성계획 운영 시뮬레이션
기능연속성계획(COOP) 실행, 점검 및 개선
내부심사 계획, 수행, 보고 및 후속조치
경영검토 자료 작성 및 개선
4단계: 재난안전
성숙도 측정 및
중장기 개선방향 도출
기능연속성계획(COOP) 구축 후 성숙도 측정
기능연속성계획(COOP) 중장기 개선 방향 도출 및 실행항목 수립
.png)